엑셀함수/COUNTIF/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세는 함수
엑셀 COUNTIF 함수
1. COUNTIF 함수란?
COUNTIF 함수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세는 함수입니다.
즉, 숫자, 텍스트, 비교 연산자(>, <, = 등) 등을 사용하여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데이터 개수를 계산할 때 사용됩니다.
COUNTIF 함수의 특징
- 텍스트, 숫자, 날짜 등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조건으로 설정 가능.
- =, >, <, >=, <= 등의 비교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음.
- 와일드카드(*, ?)를 이용하여 특정 패턴에 맞는 데이터를 검색 가능.
2. COUNTIF 함수의 문법
COUNTIF(range, criteria)
인수 설명
- range (필수) : 조건을 적용할 셀 범위.
- criteria (필수) : 개수를 셀 기준이 되는 조건.
3. COUNTIF 함수 사용 방법
(1) 숫자 조건 사용
예제 1: 특정 숫자의 개수 세기
A
10 |
20 |
30 |
10 |
40 |
=COUNTIF(A1:A5, 10)
결과: 2 (A1과 A4에서 "10"이 발견됨)
예제 2: 특정 값보다 큰 숫자의 개수 세기
=COUNTIF(A1:A5, ">20")
결과: 2 (30, 40이 조건에 부합)
(2) 텍스트 조건 사용
예제 3: 특정 텍스트 개수 세기
A
사과 |
바나나 |
체리 |
사과 |
망고 |
=COUNTIF(A1:A5, "사과")
결과: 2 (A1과 A4에서 "사과"가 발견됨)
예제 4: 특정 텍스트를 포함하는 개수 세기
와일드카드를 활용하여 "포함하는 단어"를 찾을 수 있습니다.
A
사과 |
바나나 |
체리 |
초코바 |
망고 |
=COUNTIF(A1:A5, "*바*")
결과: 2 (바나나, 초코바)
- * : 임의의 길이 문자열 (예: "*바*" → "바"가 포함된 모든 단어)
- ? : 한 글자만 대체 (예: "사?" → "사"로 시작하고 한 글자가 더 있는 단어)
(3) 날짜 조건 사용
예제 5: 특정 날짜 이후의 개수 세기
A
2024-01-01 |
2024-02-15 |
2024-03-10 |
2024-04-05 |
2024-05-20 |
=COUNTIF(A1:A5, ">2024-03-01")
결과: 3 (2024-03-10, 2024-04-05, 2024-05-20)
4. COUNTIF 함수 활용 예제
(1) 두 개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개수 세기
COUNTIF 함수는 한 번에 하나의 조건만 적용 가능합니다.
여러 개의 조건을 만족하는 개수를 세려면 COUNTIFS 함수를 사용합니다.
=COUNTIFS(A1:A5, ">10", A1:A5, "<30")
위 함수는 10보다 크고 30보다 작은 값의 개수를 반환합니다.
(2) 빈 셀 개수 제외하고 개수 세기
빈 셀을 제외한 개수를 세려면 "<>" 조건을 사용합니다.
=COUNTIF(A1:A10, "<>")
이렇게 하면 빈 셀을 제외한 개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.
(3) 특정 조건을 제외한 개수 세기
예를 들어, "사과"를 제외한 개수를 구하려면:
=COUNTIF(A1:A10, "<>사과")
이렇게 하면 "사과"를 제외한 개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.
5. COUNTIF 함수의 한계 및 주의점
-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음 → 대소문자를 구별하려면 SUMPRODUCT와 EXACT 조합 필요.
- 여러 개의 조건을 적용하려면 COUNTIFS 사용.
- 날짜 비교 시 텍스트 형식이 아닌 실제 날짜 형식으로 입력해야 정확한 결과 반환.
6. COUNTIF 함수 + 다른 함수 응용
(1) COUNTIF + IF 함수
예를 들어, 특정 범위에서 "사과"가 3개 이상이면 "재고 충분"을, 그렇지 않으면 "재고 부족"을 표시하려면:
=IF(COUNTIF(A1:A10, "사과")>=3, "재고 충분", "재고 부족")
(2) COUNTIF + SUM 함수
COUNTIF를 활용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값만 합산하려면:
=SUMIF(A1:A10, ">50", B1:B10)
이렇게 하면 A1:A10에서 50보다 큰 값이 있는 B1:B10의 값을 합산합니다.
(3) COUNTIF + AVERAGE 함수
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값들의 평균을 구할 때:
=AVERAGEIF(A1:A10, ">50", B1:B10)
이렇게 하면 A1:A10에서 50보다 큰 값을 가진 B1:B10의 평균을 계산합니다.
7. COUNTIF vs COUNTIFS 비교
함수기능
COUNTIF | 하나의 조건을 적용하여 개수를 셈 |
COUNTIFS | 여러 개의 조건을 적용하여 개수를 셈 |
COUNTIFS 예제
=COUNTIFS(A1:A10, ">10", B1:B10, "<50")
위 함수는 A열 값이 10보다 크고, B열 값이 50보다 작은 개수를 반환합니다.
8. 결론
- COUNTIF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셀 개수를 구하는 함수.
- 숫자, 텍스트, 날짜 등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조건으로 설정 가능.
- 비교 연산자(>, <, =, >=, <=)와 와일드카드(*, ?)를 활용 가능.
- 여러 조건을 적용하려면 COUNTIFS 사용.
- SUM, AVERAGE 등 다른 함수와 결합하여 활용 가능.
이제 COUNTIF 함수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! 🚀